본문 바로가기
나름의 독서

<어른의 기분 관리법>을 읽음

by 왕만두엄마 2024. 10. 22.

 


매일 내 기분을 살피고 자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15p)

그동안 귀찮다는 이유로 미루어 왔던 일들을
차근차근 해 나가는 것이다.
방을 정리하고, 설거지를 함, 주변을 깨끗이 정리해보라.
이러한 단순한 행동들은 우리의 마음에도 정리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방청소가 뇌청소 라는 말이있다.
실제로, 정돈된 공간은 우리의 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함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동력을 만든다.
공간이 주는 힘은 대단히 크다 볼 수 있다.

우울한 기분이 들 때마다, 몸을 움직이고, 햇볕을 쬐며,
방을 청소하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나아질 수 있다.
낵 부족해서 우울함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우울함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지를 몰랐을 뿐이다.
단순하지만 정답은 아주 가까운 곳에 있다.(17~18p)

'왜 살아야 하지?' 같은 질문보다는
'어떻게 해야하지?'를 스스로에게 묻는것이 중요하다
'왜?'가 어 딨는가. 그냥 하면 된다.

기억해야 할 것은,
삶에 꼭 큰 의미가 있어야만 하느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살아있는 것 자체가 의미다.
우리의 존재는 이미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단지 하루하루를 수습하며 살아가는 것뿐이다.
언젠가는, 우리의 일상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그래 ? 해볼까' 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해보라, 막상해보면 별 것 아닌 경우가 많다.(19~20p)

감정 정확하게 파악하기
그냥. 잘 모르겠어 보다는
명확하게 감정을 표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에는 좋고 나쁨이 없다.
부정적인 감정도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운동이나 명상활동하면
세토로닌 수치를 높여서 우리는 더 행복해진다.

몸동작이 기분을 바꾼다.
호흡하기/ 산책하기.

2~3L의 미네랄워터 나 허브티 마시기

가족이니까 상처의 깊이를 따지지 않고 '이해'와 '배려'라는 사고의 틀에 가둔채 상처를 당연히 받아들이게 하는 것은 지양해야한다.
가자ㅗㄱ이니까 먼저 안아주고 위로하고 이해하고 배려해서 감정을 어루만져 주어야 한다.
가족이 주는 상처가 나의 트라우마가 되고 나의 성장을 방해한다면
더 이상 가족의 역할은 유지할 필요가 없다.(68p)

마음정리를 위한 3가지 실천 습관
1.음악듣기
2. 산책하기
3. 글쓰기

일과 개인생활이 명확한 경계가 필요하다
스트레스 줄이는데 중요한 첫걸음(93p)
개인적인 취미나 운동도 스트레스 줄이는 자기관리에 큰 역할을 한다.

기분관리 방법
1. 이너스캐닝 : 자신의 내면 돌아보는 행위
Sleep
Breath
Agony(아픔)
Meal
Surroundings(주변환경) - 청소 소음 음악 (112~)

질문바꾸기
왜 이런 일이 일어났지? -> 이일은 내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 경험을 통해 내가 배울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가?

전제 바꾸기
내게 일어난 일이 아니라, 나를 위해 일어난 일이다.
일어나는 모든일은 내게 도움이 된다. 내게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기분전환리스트 만들기
* 햇볕쬐며 산책하기
*조용한 곳에 앉아서 심호흡하기
*코인노래방 가서 샤우팅하기
등등

제3의 선택지도 생각해보기
"클럽에 들어가기 위해선 정문과 VIP전용문 외에도
주방문으로 통하는 뒷문이 있다" 같은 ... ㅋ 대안책 알아보기(129p)

긍정적인 생각 가지기
규칙적이고 균형잡힌 식습관 가지기
충분하고 질 좋은 수면습관 가지기
가볍더라도 규칙적인 운동습관 가지기
알코올을 피하기
명상 요가 이완요법하기


삶이 나를 흔들더라도 코어 만큼은 흔들이지 않도록 지키는 연습인 것이다.
그리고 호흡.
우리는 종종 숨쉬고 있다는 사실을 잊곤 한다.
필라테스에서의 호흡은 감정의 바다에 비유하자면 등대와 같다.
잔잔한 바다는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 깊은 호흡하나로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평화를 찾을 수 있다.(152p)

마음챙김/ 명상/ 깊은 호흡
만트라 / 자연명상/(154p)

쓸모없는 경험이란 없다.(161p)

SNS를 줄이자.

자신을 돌아보고 자기 자신에게도 친절을 베풀자.
부모 뿐만 아니라 개인으로도 우리 자신을 소중히 여기자.(171p)

인간관계에서의 거리 조절에는 세심한 주의 가 필요하다.
친밀감이 깊어질수록 우리는 서로에게 더 의지하며 편히 대하게 되지만,
개인적인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특히 가까운 사람일수록 서로의 공간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178p)


선넘는말 대처법
먼저 상대방의 행동을 각관적인 사실로 받아들이고
"정말 그렇게 생각하시나요?"라고 되물어보기
"그말은 정말 속상하네요. 왜 그런말을 하셨는지 모르겠어요"
"지금 제가 대충했다고 하셨어요?
무례한 일을 당했을 떄는 당황하지 않는 모습을 먼저 보이자.
흔들리고 자신감 없어지는 모습이야말로 무롛ㄴ 사람이 원하는 결과라는 점을 기억하자.(184p)

체력이 좋은 태도를 만든다.
강철 멘탈이 되기 위해 뛰어라.(5분이라도 뛰어라)(200p)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자격증이 있음.(참고하기)

효과적인 셀프 치료방법
1. 자기 이해와 자기 수용
2. 자기 돌봄과 자기관리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 스트레스 관리./휴식취하기)
3. 긍정적 마음가짐 기르기 (감사하기)
4. 사회적 지지 활용하기
5. 마음 챙김과 명상 실천(호흡, 걷기)
6. 자기 도움 자료 활용 (독서치유.)(240p~)

부록의 글쓰기에 관련된 간단한 조언같은것이 맘에 든다.
혹시나 글을 쓸일이 있으면 다시 읽고 싶음

320x100


이 책은 표지가 핑크라서 여자필독서 같은건가 싶어서 집었는데
남자들이 봐도 좋을것같다는 생각이 든다.
핑크는 여자 책이야 라는 내 편견 ㅋ

표지도 귀엽고 제목도 맘에 들어서 그냥 빌렸는데
좋은 울림을 주는 책임

여기서 읽은 대목중에
화를 내면 나한테 화가 제일 많이 간다가 인상 깊었고
나를 챙기자.
나를 사랑하고
명상을 해보자.싶음.

좋은 책임.....
잘읽었습니다.

728x90